화내기 전에 생각해야 할 10가지
1. ‘해야만 한다’는 생각을 버린다. 화가 났을 때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야’ ‘그 사람이 나에게 최소한 이렇게 했어야만 해’같은 비합리적인 생각을 하고 있진 않은지 점검한다.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란 없고 ‘..해야만 하는 사람’도 없다. ‘내가 삼촌 뻘인데’ ‘내가 그 동안 부장님께 어떻게 했는데’ 같은 생각도 자신의 기준일 뿐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3FC80F4AE586E7B5)
2. 극단적인 표현을 삼간다. “저 사람과는 끝이야!” “열 받아 미치겠어” 대신 “기분이 좋지 않다”고 말하자. 표현에 따라 기분도 바뀐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3FC80F4AE586E7B6)
3.‘나 같으면 절대..’라는 가정은 하지 않는다. 엄밀히 말해 그 사람이 ‘나 같이’ 행동해야 한다는 근거는 없다. 그 사람 입장에선 또 다른 사정이 있을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73FC80F4AE586E7B7)
4. 성악설을 믿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인간은 죄인일 뿐 아니라 누구나 불완전하다. 사람들이 가끔 부당해 보이는 게 당연하다고 받아들이자. ‘난 이런 거 못 참아’라고 생각해 봤자 스트레스만 커진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3FC80F4AE586E8B8)
5. 사람과 행동을 구별한다. 특정 행동 비판이 아니라 행위자 자체를 ‘용서할 수 없는 나쁜 사람’으로 규정함으로써 자신의 분노(또는 욕설과 폭력행사)를 정당화하려는 경향을 주의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3FC80F4AE586E8B9)
6. 오늘 낼 화를 내일로 미룬다. 흥분상태에선 실수를 하기 쉽다. 당장 화 내고 싶어도 일단 미뤄 둔다. 차분한 상태로 대응하는 게 언제나 더 이롭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3FC80F4AE586E9BA)
7. 화를 내는 게 어떤 효용이 있는지 생각한다. 대부분의 경우 분노의 표출은 인간관계와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다. 화내봤자 얻는 게 없다고 생각되면 즉각 단념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3FC80F4AE586E9BB)
8. 제3자에게 화풀이하지 않는다. 화가 났을 때는 괜히 타인에게 화풀이함으로써 갈등을 2배로 키우기 쉽다. ‘난 화가 났으니까 이래도 된다’고 생각하는 순간 외톨이가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3FC80F4AE586E9BC)
9. 좋았던 기억을 떠올린다. 어떤 사람에게 화가 났을 때 그 사람과 즐거웠던 추억을 떠올리고 그 기억에 몰두함으로써 나쁜 기억을 몰아내려고 노력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3FC80F4AE586EABD)
10. 남의 일처럼 생각한다. 내가 주인공인 드라마를 보는 기분으로 한 발 떨어져 생각하면 비극적인 상황도 낭만적이거나 코믹하게 느껴진다.
-좋은 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