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腦)가 강해지는 비법
KIST의 이수영 교수는 뇌가 강해지는 비법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 비법이 어떤건지 알아 보겠습니다.
![2.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1e1ff7c.jpg)
01. 연결시켜 기억하라
정보를 얻고 저장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조합이다. 학습능력과 기억력을 좋게 하려면 배우는 것들 사이의 연관성을 만들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이름을 외울 때는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이나 그 사람을 처음 만난 장소, 그 장소에서 들었던 음악 소리 등과 연결시켜보는 것이다.
새정보와 이미 알고 있던 정보 사이에 연결고리가 생겨 또다른 정보가 생겨나게 된다.
![4.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1ea2cfb.jpg)
02. 양손을 사용하라
뇌는 서로 비슷하게 생긴 오른쪽 뇌와 왼쪽 뇌로 나눠져 있다. 신체로부터 전달되는 대부분의 정보가 오른쪽과 왼쪽으로 서로 교차돼 전달된다.
왼손이나 왼쪽다리에서 온 정보는 오른쪽 뇌로, 오른쪽 손에서 온 정보는 반대로 가는 식이다.
![17.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51a8bac.jpg)
양손을 사용한다면 뇌를 균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다. 글씨를 쓸 때 오른손을 사용하더라도 칫솔질은 왼 손으로 하는 거다.
넘쳐나는 정보의 바다속에서 알아야 할 것이 너무 많아 한쪽 뇌만으로는 부족한 것이다.
![5.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1ef2643.jpg)
03. 잠자기 직전에 공부하라
꿈은 아직까지 그 본질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한 동물 실험은 꿈! 이 우리 전에 경험하거나 배운 것이나 남겨 둔 문제들을
다시 기억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만든다. 잠자기 전, 꿈꾸기 전에 외운 것이 더 잘 기억되는 이유다.
![6.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1f45879.jpg)
04. 외우지 말고 이해하라
인간의 뇌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주변환경에 적응해 살아가기 위해 진화해왔다. 주변 환경을 분석하고 이해하면서 작용하도록 돼 있다.
뇌는 그래서 단순히 암기한 것보다는 이해한 것에 대해 특히 잘 기억한다.
뭔가를 배운다면 이것을 왜 배우고 공부해야 하는지 뇌에게 잘 "설명"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7.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1f970fc.jpg)
05. 오래 사귈수록 나쁜게 TV다
텔레비전을 오래 시청하면 뇌에 좋지 않다. 텔레비전은 한꺼번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줘 뇌가 그 정보를 스스로 처리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
텔레비전을 오랫동안 보게 되면 뇌가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문제는 이것이 반복되다보면 나중에 뇌가 새로운 정보를 능동적으로 얻고 처리 하는데 방해가 되는 것이다.
![18.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4e5dcd9.jpg)
앞으로 2~3 시간 동안만이라도 텔레비전을 켜지 말고 생활하보라.
처음에는 견디기 힘들겠지만, 얼마 지나면 전과는 다르게 머리가 맑아진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9.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4ead25a.jpg)
06. 일상적인 것에 반대하라
우리의 뇌는 변화를 즐긴다. 틀에 박힌 것은 싫어한다. 단조롭고 변화가 없다는 것은 뇌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지 못한다는 얘기다. ! 뇌는 일상적이고 변화가 없는 정보는 소음처럼 여기고 기억하지 않는다. 가령 여러 권의 책을동시에 읽는 새로운 시도를 해본다.
![10.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4f052d4.jpg)
첫번째 책을 30분 동안 읽다가 이어서 다른 책으로 넘어간다. 교과서를 읽다가 시집이나 재미있는 잡지를 읽어본다.
이렇게 하면 뇌가 집중력을 잃을 것 같지만 오히려 반대다.
![11.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4f469b3.jpg)
07. 여행하라
여행은 뇌를 재충전하고 깨어있게 하는 좋은 방법이다. 이국적인 곳을 여행할 수록 풍부한 자극을 경험하게 돼 더욱 좋다. 여행은 뇌의 환경이 결정되는 12세 전후가 지나기 전에 할 수록 좋다.
새로운 장소나 다양한 인종, 이국적인 음식들을 접하면 뇌의 활동에 도움이 된다.
![12.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4fa0ef4.jpg)
08. 새로운 것을 먹어라
늘 먹던 음식보다 한번도 먹지 못했던 음식, 예를 들어 인도나 태국음식 등에 도전해보자.
새로운 음식은 뇌에 새로운 자극을 줘 일상생활에 지쳐 있는 머릿속을 상쾌하게 만들어 준다
![13.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502bbe9.jpg)
09. 도전하고 배워라
뇌는 도전을 즐긴다. 새로운 외국어를 배우거나 글을 써보거나 모형비행기를 조립하는 것 무엇이라도 좋다.
![14.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5081ec3.jpg)
10. 남들따라 하지 말라
뇌는 도전을 좋아하는 동시에 다른 ! 것을 잘 따라한다는 특성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뇌가 배우고 기억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 같아 지려 하는 뇌의 명령을 거부해야 한다! .
![15.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50da4c4.jpg)
앞으로 20~30년 동안 무슨 일을 할 때가 가장 행복할 지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그리고 정말로 하고 싶은 그 일을 하라. 즐기면서 하는 일은 보상도 따른다.
글 : 카이스트 이수영 교수
![20.jpg](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2/49a88d609900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