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감상외 여행지자료/名畵감상&사진

황홀한 우주

素彬여옥 2011. 7. 15. 10:09



황홀한 우주 (宇宙)

우리가 사는 이 우주는 참 크다고 한다.

우주 전체를 놓고 볼 때 이 지구라는 존재는 그야말로 먼지보다도 작고 미미한 존재라는 것이다. 아니 도대체 그럼 이 우주라는 공간은 얼마나 크길래 그런 말들이 나오는 걸까?
태양이 지구보다 엄청나게 크다고 말로는 이야기 하지만, 실제 눈으로 그 크기 차이를 확인해 본 적이 있으신가?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우리가 알고 있는 각 별들의 크기를 비교해, 이 지구가 얼마나 작고 미미한 존재인지 알아본다.




햐 ~~ 이거 목성(Jupiter) 크기만 해도 지구에 비해 어마어마하게 크다. 이걸 보니 이 태양계에서도 지구는 무지하게 작은 별인 건 틀림없는 것 같다.

그런데..............
태양계의 중심인 태양(Sun)을 중심으로 놓고보면 이거야 말로, 지구는 정말 작다고 표현하는 것 외에 다른 말이 안 떠 오른다..
지구에 비해 직경이 109배, 부피는 130만배, 질량은 38만배 (33만배라고 하기도 함) 의 위용을 자랑한다.


시리우스(Sirius) 라고 하는 별은 이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로 알려져 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천랑성(天狼星)이라고 부른다. 별자리 큰개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허블 망원경으로 바라 본 별, 시리우스

허블 망원경으로 바라 본 별, 시리우스

위 그림에서 보이는 아르크투루스(Arcturus) 는 대각성(大角星)이라고 불리며, 별자리 목동자리의 가장 대표적인 별이다.


이젠 이거 갈 수록 태산이다. 시리우스도 크다고 했더니, 베텔제우스(Betelgeuse)는 입이 안 다물어진다.

베텔제우스(Betelgeuse)는 태양(Sun)에 비해 직경으로 약 1000 배의 크기라고 한다.

도대체 별의 크기는 한도 끝도 없는 걸까? ㅎㅎ
드디어 마지막 별을 소개할 순서가 되었다.



이거 새해 벽두부터 희망찬 미래를 보여줘야 하는데, 이 광대한 우주에 기가 질려버리는 포스팅을 한 건 아닌지 모르겠다. 아니, 이렇게 광대한 우주만큼 우리의 미래도 활짝 열려있는 것이라고 믿고 싶은 마음일 것이다.
<kic3629-황혼의 난원 운영자 메일>

★ 衛星이 잡은 멋진 宇宙 그래픽 ★

2.jpg



12.jpg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9.jpg


10.jpg


11.jpg


22.jpg


13.jpg


14.jpg


15.jpg


16.jpg


17.jpg


18.jpg


19.jpg


20.jpg


21.jpg


32.jpg


23.jpg


24.jpg


25.jpg


26.jpg


27.jpg


28.jpg


29.jpg


30.jpg


31.jpg


41.jpg


33.jpg


34.jpg


35.jpg


36.jpg


37.jpg


38.jpg


39.jpg


40.jpg




우리가 사는 이 지구가 우주 전체를 놓고 볼 때

먼지보다도 작은 별이군요.

이런 지구에 살면서 우리는 태양을 품는 꿈을 안고 살아가지요.

이 조그마한 행성에서 존재하는 생명은

순간적이겠지요. 그래요 인생은 찰라 입니다.

서로를 격려하며 알콩달콩 살아가요

- 메일에서 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