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昏의 12道
第1道-언도(言道)
老人은 말의 수(數)는 줄이고, 소리는 낮추어야 한다.

第2道-행도(行道)
老人은 행동(行動)을 느리게 하되 행실(行實)은 신중(愼重) 해야 한다.

第3道-금도(禁道)
老人은 탐욕(貪慾)을 금(禁)하라.. 욕심(慾心)이 크면 사람이 작아 보인다.

第4道-식도(食道)
老人은 먹는 것으로 산다.
가려서 잘 먹어야 한다...

第5道-법도(法道)
삶에 규모(規模)를 갖추는것이
풍요(豊饒)로운 삶보다 진실(眞實)하다.

第6道-예도(禮道)
老人도 젊은이에게 갖추어야 할
예절(禮節)이 있다.
대접(待接)만 받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7道-낙도(樂道)
삶을 즐기는 것은 욕망(慾望)을
채우는것에 있지 않다. 간결(簡潔)한 삶에 낙(樂)이 있다.

第8道-절도(節道)
늙음이 아름다움을 잃는 것은 아니다.
절제(節制)하는 삶에 아름다움이 있다.

第9道-심도(心道)
인생(人生)의 결실(結實)은
마음가짐에서 나타낸다.
마음을 비우면 세상이 넓어 보인다.

第10道-인도(忍道)
老人으로 살아감에도 인내(忍耐)가 필요하다.
참지 못하면 망령(妄靈)이 된다.

第11道-학도(學道)
老人은 경험(經驗)이 풍부(豊富)하고
터득한 것이 많다.
그러나 배울 것은 더 많다.

第12道기도(棄道)
손에 잡고 있던 것들을 언제 놓아야 하는지
이것이 老人의 마지막 道이다.
-*' 아름다운 老年의 生活'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