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춘추시대 진(晋)나라에 위무자(魏武子)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병이 들자 아들 위과(魏顆)를 불러 ‘내가 죽으면 후처를
개가시켜라’고 했다.
사랑하는 여인의 순장(殉葬)을 면하게 하려는 뜻이었다.
그러나 병세가 악화돼 정신이 혼미해진 그는‘후처를 자살토록해 같이 묻어 달라’며 유언을 번복한 뒤 죽었다.
어떤 유언을 따라야 할지 고민하던 아들 위과는 서모를 개가시켜 순사(殉死)의 위기에서 구했다.
부친의 장례를 치른 위과는 진(秦)과의 전쟁에 나섰고,적장 두회(杜回)에게 쫓기는 신세가 된다.
두회가 위과를 막 사로잡으려는 순간 말이 풀에 걸려 넘어졌다.
누군가 풀을 묶어 놓았던 것.덕택에 위과는 사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그날 밤 한 노인이 꿈에 나타나 말하길 “나는 자네 서모의 아버지 망혼(亡魂)일세.
자네가 나의 딸을 구했으니 그 보답으로 풀을 엮어(結草) 자네를 구했네”라고 했다.『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결초보은(結草報恩)
‘반포보은(反哺報恩).
반포지효(反哺之孝)라는 말로 널리 알려져 있다.
까마귀는 엄마 까마귀가 늙으면 반대로 먹이를 물어다 먹인다(反哺)는 전설에서 유래된 말이다.
까마귀도 부모를 섬기는데,사람이라면 더 지극히 부모를 모셔야 한다는 뜻이다.
음수사원(飮水思源)
음수사원(飮水思源) 역시 같은 뜻이다. 남북조 시대 양(梁)나라 장군인 유신(庾信)이 남긴 징조곡(徵調曲)’에서 나오는 말로
‘낙실사수, 음수사원(落實思樹, 飮水思源)이 원전이다.
과일을 딸 때는 나무를 생각하고, 물을 마실 때는 원천(源川)을 생각하듯 항상 고마워하라는 의미다.
자전 설문(說文)은 은(恩)’을 ‘고마움(惠)’이라고 했고, 시경에서는 ‘사랑(愛)’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상대를 사랑하고 혜택을 베푸는 것이 곧 ‘恩’이요, 그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 곧‘보은(報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