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인체 모든 장기의
기능은
점차 활력을 잃는다.
그러나
그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대비 한
다면, 인생을 오랫동안
활기차게
보낼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 관리에 대한
세심 한
계획을 세우고,
자신의
신체를 항상 객관적으로
평가하는자세도
필요하다.
40대이후
우리 몸에 일어나는
변화를
소개 한다.
■
40대·근육 ■
근육의
힘이 현저히 떨어진다.
20·30대
때의 힘을 유지하려면
상당 한
노력이 필요하다.
체력을
단련하기 위해 걷기나
수영
등을 해왔다면,
이제
약간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고려할
만 하다. 그러면 체격이
더욱
단단해지며, 혈압과
콜레스테롤
조절에도 도움이 된다.
★50대·뼈★
여성이
폐경이 되면 호르몬 변화로,
나이들면서
정상적으로 이뤄지는
골
손실이 더욱 악화된다.
이 같은
골밀도 감소는 종종 골절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
알아
차리지 못하기도 한 다.
골밀도
검사로 급격 한 골 손실을
초기에
진단할 수 있다.
★60대·심장★
심혈관질환이
남녀 모두 사망원인
1위이다.
혈압·콜레스테롤치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은 물론,
비만·당뇨
가족력 등이 있으면
혈당치도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 다. 과격 한 운동을 할
사람은
반드시 심전도를
찍어봐야
한 다.
★70대·치매★
노화의
정상 신호인 기억의 착오에
대해
너무 개의치 마라.
나이
자체가 기억을 상기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간단 한 정신과
검사로
기억의 착오와 치매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뇌MRI(자기공명영상) 등으로 뇌
혈류에
이상으로 발생하는 혈관성
뇌질환
또는 혈관성 치매 등을
구별해
낼 수 있다.
◆ 눈
◆
40세가
넘으면 렌즈(수정체)?!
?탄력을
잃고, 이를 조절하는
안근육도
약해진다. 그래서 가까운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게 어려워진다.
60세가
넘으면 렌즈의 단백질
성분이
산화되고 혼탁해짐에 따라
백내장이
매우 흔히 생긴다.
▲건강포인트▲
녹황색
채소를 많이 먹으면 백내장과
노화성
황반변성을 예방할 수 있다.
매년
안과검진을 받아 백내장·녹내장·
황반변성
등을 조기에 발견,
치료해야
한 다.
◆ 치아
◆
치아
표면을 보호하는 에나멜이
깨지기
쉽다. 오래된 보철물이 분해
돼서
새로운 충치가 생길 수 있다.
잇몸은
위축된다.
40대
이후 치아를 잃는 가장 흔한
원인은
‘ 풍치(치주염)’이다.
부실 한
치아 건강은 노년기 영양
불균형의
주된 요인이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25EA%25BE%2580%25EA%25BC%25AC%25EB%25A6%25AC6IMG%5F9500%2Ejpg)
▲건강포인트▲
모든문제는
열악한 구강위생에서온다.
치실을
정기적으로 사용하고,
6개월에
한 번 치과에서 치석을
제거하고,
보철물을 관리 한 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25EA%25BE%2580%25EA%25BC%25AC%25EB%25A6%25AC032%2Ejpg)
◆피부와
머리카락◆
포동포동
한 피부의 진피층은 점점
얇아진다.
진피층의 콜라겐 섬유소도
분해되어
피부 탄력을 잃는다.
50세가
되면 반은 흰머리를 갖고,
남자는
60세가 넘으면 부분적으로
대머리가
된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25EA%25BE%2580%25EA%25BC%25AC%25EB%25A6%25AC%25EB%25AA%25A8%25EC%25A0%2595%2Ejpg)
▲건강포인트▲
피부와
관련된 문제는 대부분 햇빛
때문이다.
노화된 피부는 특히
자외선에
손상되기 쉽다.
항상
자외선 차단제를 챙기고, 긴팔
옷을
입으며, 모자를 쓴다.
◆ 귀
◆
청각신경세포가
점차 기능을 잃으면서
내이
귀도의 벽이 점점 얇아지고
마른다.
대부분 50대 중반까지는
청력이
정상이나, 60세에서 80세
사이에
25% 감소 한 다.
65세
이상 3명 중 1명은 청력에
문제가
생긴다고 봐야한다.
▲건강포인트▲
청력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소음에
자주
노출되는 것을 피한다.
나이가
듦에 따라 일부 청력 감소는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최근의
보청기는
크기가 매우 작고 눈에
띄지
않으면서 효과적이다.
◆여성의
섹스◆
폐경은
성욕과 원활 한 성생활에
필요 한
질의 윤활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질은 여성호르몬 에스!
트로젠이
감소함에 따라
위축되고
좁아진다.
성기
조직들은 얇아지고 건조해진다.
이런
변화들은 성교시 통증을
유발하고,
이는 더욱
성욕을
감퇴시킨다.
▲건강포인트▲
수용성
윤활제는 질 건조증을 개선하고,
에스트로젠
대체요법은 성기 위축을
줄인다.
크림제로 호르몬을 직접
질 벽에
도포할 수 있어 다른조직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남성의
섹스◆
나이
자체가 남자의 성생활을 망쳐
놓지는
않는다. 50세가 넘으면 음경의
발기
강직도는 줄어들고, 사정도
젊었을
때처럼 강력하지 않다.
또
섹스에 대 한 느낌도 감퇴 한 다.
그렇다고
발기부전이 정상 노화의
과정은
아니다.
▲건강포인트▲
심혈관계
건강을 향상시키는 모든 게
음경의
혈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돼서 성
건강에도 좋다.
운동,
적정 체중 유지, 스트레스 제거,
금연
등이 권장된다.
◆호르몬◆
50세가
넘으면서 생식호르몬은
감소한다.
여자는 폐경이 되면서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젠이 급격히 떨어지고,
남자는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
점차적으로
줄어든다.
이
때문에 우울증등 기분변화도 생기고,
골
밀도가 떨어지고,
근육의
힘도 약해진다.
▲건강포인트▲
호르몬
대체요법의 효과는 긍정적이다.
에스트로젠제제를
10년간 사용하면
사망
위험률이 40% 감소하고,
그
이상을 쓰면 20%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된다.
◆
비뇨기 ◆
소변을
걸러내는 신장의 효율은 떨어지고,
방광
근육도 약해진다.
고령자
3명중 1명은 요실금을 경험한다.
대부분의
남자는 전립선 비대증으로
소변
보기가 힘들고,
줄기도
약해진다.
▲
건강포인트▲
요실금
환자의 90%에서 약이나 수술로
요실금과
전립선 비대증을
개선할
수 있다.
항문
괄약근 등을 조이는 골반운동도
요실금
방지에 좋다.
◆ 폐
◆
55세
전후에 폐조직 내의 단백질은
탄력을
잃으며 흉곽의 움직임이
둔해진다.
폐포는 들이마신 공기 중
산소를
폐정맥내의 혈액으로
옮기는
능력이 떨어진다.
▲
건강포인트▲
담배를
피우지 않고, 수영을 즐긴다.
이처럼
체력을 잘 단련 한 고령자는
앉아서만
일하는 젊은이보다
폐활량이
더 클 수 있다.
◆소화기관◆
위액과
소화효소는 60세가 넘으면
현저히
준다. 음식물이 소장·대장으로
넘어가는
시간이 길어지고,
변비가
더욱 흔해진다.
일부
영양소는 쉽게 흡수가 안 된다.
▲건강포인트▲
과일·채소·섬유소가
풍부 한 곡물
등이
변비를 예방 한 다.
운동과
엽산 등이 대장암 발생
위험을
줄이고, 육류 섭취는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심장과
동맥◆
혈관벽을
싸고 있는 내피층에 지방
성분이
쌍이고, 상흔 등이 축적돼서
동맥경화가
심해진다. 그래서 심장·
뇌 등
여러 장기에 혈류량이
줄어든다.
혈압이 흔히 높아진다.
여자는
폐경기전에는 심장병 발생
위험이
남자보다 작다가,
폐경
후에 남자보다 커진다.
65세가
넘으면 60% 이상에서 심장
혈관에
이상이 생긴다.
▲건강포인트▲
운동,
체중조절, 과일과 야채·곡물
위주의
식사 등이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개선시킨다.
◆뇌와
신경◆
30세에서
90세 사이에 뇌는 10%가
위축된다.
뇌의 신경세포들도 밀집돼
있던
것이 엉성해진다. 업무를
구성하고
진행시키는 능력은 쇠퇴하는
반면,
언어 능력과 집중력은
그런
대로 유지 한 다.
▲건강포인트▲
정신적인
활동과 달리기 등 유산소
운동이
인지기능을 유지하는데 좋다.
피아노
등 손가락과 머리를 많이 쓰는
취미를
갖고, 자주 활발히 걷는
습관을
가져야 한 다.
◆뼈와
연골◆
50세가
넘으면 골밀도가 점차
감소
한다. 또 관절면을 부드럽게
보호하는
연골도 점점 소실된다.
폐경기
여성은 여성호르몬
에스트로젠이
뚝 떨어지면서
골
손실이 가속된다.
▲건강포인트▲
하루에
몇 분 몇 시간이라도 서서
체중이
실리는 운동을 한 다.
비타민D가
풍부 한 음식을
많이
먹는다.
◆근육과
힘◆
나이
들면 근육의 크기와 무게가
줄어든다.
근육이 퇴화함에 따라,
신체는
휴식할 때 적은 칼로리로도
신진대사가
이뤄진다.
따라서
같은 칼로리를 섭취해도
지방이
쌓이고 살이찌는결과를 낳는다.
▲건강포인트▲
어느
나이에서건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근육의
양과 힘을 늘릴 수 있다.
또 한
스트레칭은 근육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