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제21대 영조 대왕의 비 정성왕후(貞聖王后)가 죽자 영조는 다시 왕비를 들이는데, 이때 영조가 왕비 후보들에게 세상에서 가장 깊은 것이 무엇인지를 물었다. 다른 후보들은 ‘산이 깊다’ ‘물이 깊다’ 했지만 한 여인은 ‘인심(人心)이 가장 깊다’고 했다. 이 여인이 바로 영조의 계비(繼妃) 정순왕후(貞純王后)다. 당시 15세였다. 정순왕후의 지혜로움이 엿보이는 일화다. 사람의 속마음을 알기란 매우 힘들다는 얘기다. 동물과 달리 눈앞에서는 입안의 혀처럼 굴지만 마음속으로는 언제 자기를 배반할지 모르는 게 또한 사람이다. 북한 정권이 숙청하면서 내세운 말이 ‘양봉음위(陽奉陰違)’다. 기자들 귀에도 익숙하지 않은 말이다. 남한 사람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이 말이 북한 주민들에게는 귀에 익은 말이라고 한다. ‘양봉음위’는 겉으로는 명령을 받드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배반한다는
뜻이다. 말 그대로 보는 앞에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마음속으로는 배반한다는 의미다. ‘구밀복검(口蜜腹劍)’이란 표현도 있다. 입에는 꿀이 있고 배 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겉으로는 웃고 있으나 마음속에는 해칠 마음을 품고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소중유도(笑中有刀)도 같은 뜻이다. 이런 말들과 비슷하게 쓸 수 있는 ‘표리부동(表裏不同)’이 있는데 이것도 마음이
음흉하고 불량하여 겉과 속이 다름을 의미한다. 사람이 사람을 배신하는 행태도 참 다양하다. 그래서 이런 말들이 여럿 생겨났을 것이다. 2014년에는 대인(對人) 관계에서 왼새끼를 꼬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으면 좋겠다. |
'좋은글 모음 > 감동 글,그림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기드문 귀한 장면들 (BBC) (0) | 2014.02.18 |
---|---|
스님 얘기 하나 (0) | 2014.02.17 |
軍에 100억 기증, 90세 노인 (0) | 2014.02.13 |
★ 경이로운 지구 45곳 뽑혀 ★ (0) | 2014.02.11 |
안중근 의사의 일대기 (0) | 201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