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이전정(內耳前庭) 이란? 일명:이석증(耳石症)
일어서다가 할머니가 엉덩방아를 찧었다, 바닥에 카펫이 깔려 다친데가 없어 다행이었지만 넘어져 골반이 부서지는 노인들이 허다하다.
그런 노인들 4분의 1은 6개월 이내에 죽게 되는 것이 상례라고 한다.
그러니 노인들에겐 넘어지는 게 무척 위험한 일이다. ◈왜 노인들은 잘 넘어지나?
여태까지는 노인들이 잘 넘어지는 이유는 다리가 약해지거나 정신이 흐려지거나 시력이 감퇴되거나 걸음걸이가 둔해지기 때문이라고 의사들이 믿었다. 하지만 지난 5월호 내과의학 학지에 발표된 연구결과를 보면
◈ 노인들이 잘 넘어지는 이유는 (內耳前庭) 기능장애 때문이라고 한다.
내이전정은 귀 안쪽에 있는 기관으로 균형을 감지하는 기관이다, 균형감지에 이상이 생기니 잘 넘어질 수밖에 없다, 40세 이상 미국인 35%와 60세 이상 노인들 50%가 내이전정 기능장애자라고 한다. 이 연구는 메릴랜드의 볼티모어에 있는 존스홉킨스 의대 이비인후과 교수 유리 아그라월 의사가 주도했다, 이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실시한 '국가보건 및 영양시험 설문조사'에 참가한 5086명의 성인에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했다.
◈ 내이전정 기능장애자는 어지러움을
느끼기 때문에잘 넘어지는 게 당연하다"! 고 아그라월 의사가 설명했다, 어지러움을 느끼는 장애자는 넘어질 찬스가 12배나더 높고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는 장애자도 넘어질 위험도가 3배 정도 더 심했다.
내이전정 기능장애자는 귀가 멀어질 위험도도 높았다.
내이전정의 위치가 청각기관에 가깝고 혈관을 공유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내이전정은 머리의 회전 운동 방향에 관한 감각정보를 뇌에 보낸다. ◈사람은 내이전정에서
오는 신호와 더불어 시각과 촉각을 이용해 균형을 유지한다.그런데 내이전정에 이상이 생기면균형을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아직 내이전정 기능장애의 원인은 확실히 모르지만 노화가 주원인이고 ! 흡연, 고혈압증 당뇨병 탓일 수도 있다고 ! 전문가들이 얘기한다. 검진은 용이하다. 패드를 깐 표면에 아무것도 잡지않고 서서 눈을 감으면 어지러워 넘어지는 사람은 내이전정 기능장애자다. 매년 한 번씩 이비인후과 의사에게 진단을 받아보는게 안전하다. 미국의 질병관리 및 예방센터의 통계에 의하면 매년 미국에선 넘어져 죽게 되는 사람이 1만 5000명이 넘고, 넘어져 다치는노인이 300만이 넘는다. 다치는 사람은 곧 남에게 의존해 살게 되니! 개인의 자유를 잃는다. ◈ 그래서 치료비도 급증한다. 넘어져 다친 환자들 치료비가 연 200억불이 넘는다. 그 다음엔 눈을 감고 연습을 반복한다.
◈ 양손에 물건을 들고 걷지 않는다 넘어져도 한손으로 땅을 짚으면 골반에 충격을 덜어준다. |
'명화감상외 여행지자료 > well-being 코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에 밞히는 쇠 비름의 신비 (0) | 2011.06.04 |
---|---|
장시간 통화 땐 유선전화 쓰고, 웬만하면 문자메시지 써야 (0) | 2011.06.01 |
은행잎의 효능 (0) | 2011.05.30 |
Cucumbers 오이의효능 (0) | 2011.05.26 |
바퀴벌레.. 개미 안전하게 퇴치하는 방법!!! (0) | 201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