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모음/자유게시판

설날에 먹는 떡국의 의미-받은 메일-

素彬여옥 2011. 1. 31. 19:38

 

 

PINGPONG FOR YOU 회원님!
신묘년 설날에 가족과 함께 즐겁게  보내시고
올 한해도 열심히 운동하여 건강한 노후를 보냅시다.

-미국서 카페지기 용의 언덕- 

 

떡국은 언제부터 어떤 의미를 가지고 먹었는가?
아래자료가 참고 되었으면 합니다.

  

 

설날에 먹는 떡국의 의미. 

 

 떡은 소화 흡수가 빨라 위 부담을 줄이면서 열량 보충이 잘 되는 음식.

1.언제부터: 18세기말부터-근거;동국세시기 

 
2. 왜 하필이면 떡국일까?
떡의 흰색은  좋지 않았던 모든 일은 잊고 새롭게 시작한다는 의미

 

3. 떡국의 종류

(1)긴 가래떡- 무병장수와 집안의 번창을 의미한다.

(2)동전처럼 동그란 모양- 이는 운세와 재복이 한해동안 계속 되기를 기원하는 것-왕가에서 먹던 떡국

(3)조랭이 떡국-누에고치 모양(개성지방)-재물과 경사, 풍년 등을 기원

4. 시기상 매우 적절한 음식- 한겨울에는 체력이 쇠해지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쇠고기로 국물을 낸 떡국을 끓여 먹었던 것이다.

 
5. 근래 떡국: 떡국은 칼로리가 높아 쇠고기 대신 황태나 매생이 들깨 등으로 국물 맛을 낸 저칼로리 떡국이 인기다.
6. 떡국에 넣는 고명

* 쇠고기- 필수아미노산, 무기질이 풍부-허약체질 개선, 원기회복,

               성장기 아이들의 뼈를 크고 강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 황태-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머리를 맑게 해준다.
* 매생이-바다 이끼의 한 종류 식물성 고단백 식품으로 다이어트와 피부미용,

              스트레스 해소 등에 효과적이다.
* 들깨- 비타민E와 비타민F가 있어 피부미용, 모발 등에 좋고,

           식물성 지방이 풍부해 혈관의 노화를 늦추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동국세시기는 어떤 책인가? 

조선 후기의 학자인 홍석모(洪錫謨 : ?~?)가 우리나라 연중행사와 풍속 등을 정리하여 설명한 세시풍속지.

 1849년에 완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정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의 행사·풍속을 23항목(광문회본은 22항목)으로 분류하여 월별로 정연하게 기록하고 있다.

정월에는 문안비(問安婢)·세함(歲銜)·떡국 등 여러 가지 새해행사를 열거하고 있는데, 설빔을 세장(歲粧)이라고 하는 등 순수한 우리말을 구태여 한자어로 고쳐 쓰려 한 흔적이 보인다. 각 지방의 풍속으로는 양서(兩西)의 용의 알 뜨기, 충청도의 횃불싸움, 관동지방의 새 쫓기, 영남의 칡줄다리기 등이 소개되어 있고, 특히 제주도의 풍습은 본토와 다른 것이 많아 많은 기사가 실려 있다. 또한 각 시기마다의 별식인 시식(時食)을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이 책은 종래 민속을 해설한 책 중에서 가장 상세하고 세밀하며, 당시 이미 없어진 민속도 〈동국여지승람〉에서 전제하여 실어놓았다. 그리고 각 지방마다 차이가 있는 풍속들도 많이 기술되어 있는 자료집으로서, 우리나라 세시풍속 연구의 중요한 기본문헌이다. 그러나 저자는 우리나라 세시풍속의 시원과 유래를 억지로 중국에서 찾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중국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나오는 시대적 한계성이다-끝-